이름이 바뀐 여성할당제
작성자 정보
- 하나라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99 조회
- 6 댓글
- 목록
본문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가 2020년부터 생겼는데
동종업계 여성 고용비율, 관리자비율의
70% 미만 기업들을
관보에 박제하고 기업 명과 사업주 이름을 박제하고
각종 정부 심사에서 감점을 때려버림
중견급 이상 기업들에게는 직격타나 다름없음
이 정책의 가장 큰 문제는
말로는 양성평등이라고 하지만
동종업계 '여성' 평균 고용률과 관리직급을 비교하는거임
여성 고용이 6~80% 나오는 여초 업계에서도
여성 평균고용률이 다른곳보다 낮으면
여자를 더 뽑아야함
그리고 동종업계의 70%는 정해진
고정값이 있는게 아니라서
매년 기준치가 올라감
올해는 100명중에 50명만 뽑아도 됐지만
내년엔 기준치가 올라서 51명 그후년엔 52명
계속 평균값은 올라가는거임
이게 양성평등을 위한 고용정책이라는게 믿기지가 않는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6
젤로젤루님의 댓글
- 젤로젤루
- 작성일
성기가 다르면 한쪽은 징병인데
한쪽은 국가가 취업도 시켜주네
한쪽은 국가가 취업도 시켜주네
한화롯데님의 댓글
- 한화롯데
- 작성일
공기업 사장들도 지방대 출신 할당제 때문에 피해가 커서, 국회에 법 좀 개정해달라고 호소 중
라즈베리키스님의 댓글
- 라즈베리키스
- 작성일
양성평등 할거면 교사도 남자 교사좀 뽑아봐라
여자 교사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데 왜 이건 안건드림?
여자 교사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데 왜 이건 안건드림?
미싱마이로님의 댓글의 댓글
- 미싱마이로
- 작성일
근데 이건 남자들이 교대를 안갈려고함...
이미 여초라 접근이 어려움...
이미 여초라 접근이 어려움...
명륜진상갈비님의 댓글의 댓글
- 명륜진상갈비
- 작성일
같은 논리로 공대에 남자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은데 공대쪽 기업에 여성 할당제를 해서 여성을 많이 뽑아야 하는 이유가 안되잖아
여자 수가 그냥 적은건데
여자 수가 그냥 적은건데
존버님의 댓글의 댓글
- 존버
- 작성일
맞음 저거 미이행 기업이라고 박제된곳 보니까
중공업 건설업이 금속업이 제일 많더라
그런 기업들은 사무직은 대부분 여자로 뽑아야
평균치 만들수있음
중공업 건설업이 금속업이 제일 많더라
그런 기업들은 사무직은 대부분 여자로 뽑아야
평균치 만들수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