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은 연금, 포상금 얼마 받을까
작성자 정보
- 존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84 조회
- 6 댓글
- 목록
본문

올림픽 연금으로 불리는
'경기력향상연구연금'
올림픽 or 세계선수권대회 등에서 입상해서
소위 연금점수 쌓아야 한다.
기준이 20점인데
세계선수권대회 금메달 or 올림픽 메달(금,은,동) 따면 20점 무조건 넘음.
후술하겠지만 점수별로 지급액이 달라짐.

연금 종류는 4가지.
월정금/일시금/일시장려금/특별장려금
먼저 월정금 방식
소위 대부분이 말하는 메달리스트 평생연금
'올림픽 끝나고 다음달부터 사망전까지 나오는 연금'
하지만 메달별로 월지급액이 다르며
최대 월 100만원이 한도(연금점수 110점)
소위 3관왕 하는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의 경우
초과지급분은 '일시장려금'으로 전환
ex) 양궁 금메달 3관왕 선수 기준
금메달 3개 = 연금포인트 90점x3 =>270 포인트
-월 연금액 :100만원(연금 110포인트 )
-초과 포인트 일시장려금: 16(초과포인트 10점당) x 500만원 =8천만원
일시금제도
(월정금 선택 안한 선수들 적용)
특별장려금
연금외에 지급되는 메달 포상금(2023년까지 기준)
양궁3관왕 선수는 이 기준표 (국세청피셜)에 따르면
중복수령 가능하니
6,300만원 x 3개 = 189,000,000 원 일시 수령
하지만
이 포상금엔 '세금 없음'
비과세되는 기타소득에 해당.
다만 현대자동차 같은 사기업에서 주는 포상금은 과세대상 기타소득
참고: 국세청블로그
번외로 한국 역대 올림픽 메달 획득 현황

근데 이건 단순한 갯수지 단체종목 메달이면 메달 수령한
인원들은 이 수치보다 많을듯?
패럴럼픽,세계선수권대회에서 입상한 선수들도 있고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6
명륜진상갈비님의 댓글
- 명륜진상갈비
- 작성일
실제 레슬링 금메달리스트 심권호 선수는 방송에 출연해 과거 연금 상한제가 없었을 때 최고 월 300만원 넘는 연금을 받은 적이 있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 그가 각종 대회를 통해 얻은 연금과 장려금 규모만 10억원이 넘는다고도 덧붙였습니다
https://www.mk.co.kr/news/economy/9891686
월 100만원 상한이 없었을때는 더 받았다고 하네
https://www.mk.co.kr/news/economy/9891686
월 100만원 상한이 없었을때는 더 받았다고 하네
전국양봉업자님의 댓글
- 전국양봉업자
- 작성일
세금 그만 썼으면
장석리노인정님의 댓글
- 장석리노인정
- 작성일
엘리트 체육 그만하자고 스포츠에 돈 써서 뭐하냐고 요즘 세상에 금메달 같은거 따서 뭐하냐고 하던 분들 올림픽 성적 잘 나오니까 쏙 들어감
젤로젤루님의 댓글의 댓글
- 젤로젤루
- 작성일
지금이야 '넌 눈치도 없냐?' 하겠지만 한달뒤엔 또 다를걸?
하나라도님의 댓글의 댓글
- 하나라도
- 작성일
솔직히 그런 사람들 속마음은 '스포츠 투자 자체를 축소했으면'일걸? 우리나라 자체가 그닥 스포츠에 크게 관심가지는 국가도 아닌것 같기도 하고.
근데 그런말 하면 너무 속보이니까 보기 좋게 생활체육이니 어쩌구 갖다붙히는거고
근데 그런말 하면 너무 속보이니까 보기 좋게 생활체육이니 어쩌구 갖다붙히는거고
라즈베리키스님의 댓글
- 라즈베리키스
- 작성일
이제 또 엘리트체육 없애자 내 세금 어쩌구 하는애들 대거 등장하겠구만